교양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교양

전체 39 건 - 1 페이지

[중국혁명가 열전] 김학철 - 중국혁명과 민족해방의 전선에서

이철의   김학철(본명 홍성걸)은 조선족 작가이다. 1916년 원산에서 태어났고 서울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황포 군관학교에서 무장투쟁을 학습했으며 조선의용군 분대장으로 일본군과 전투했다. 팔로군 선전 간사로 활동했으며 조선인민공화국 노동신문 기자로 일했…

노동자신문 23시간 7분전 73

[평등과 풍요의 변증법] 1회~20회차까지 연재 모음 (홍승용)

 [철학] 평등과 풍요의 변증법  홍승용 (현대사상연구소 소장) [순서]  1. 위기의 시대와 변증법   ☞https://napo.jinbo.net/v2/archives/91272. 변증법은 ‘정-…

노동자신문 2025.03.22 241

[정치교양] 꼬뮌과 소비에트

 홍  승 용 (현대사상연구소)1. 내란의 와중에법꾸라지들의 농간으로 내란수괴가 버젓이 대로를 활보하며, 국가권력의 근간인 법치를 우롱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최고의 국가권력기구로 떠오른 헌재가 ‘대량학살 미수범’에게 계엄면허를 내주어 내전과…

노동자신문 2025.03.18 239

[책 요약] '환경주의자가 알아야 할 자본주의의 모든 것' (천연옥)

 천연옥 (노동전선 교육위원)이 책이 사실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의 입문서 정도니 크게 틀린 것은 아닌 것도 같습니다. 엥겔스가 사회과학이 과학인 이상 연구하고 학습해야 한다고 했으니 그의 가르침에 따라 환경문제도 학습해 보도록 합시다. 이 …

노동자신문 2025.03.14 198

[중국혁명가] 숙명의 굴레를 부수고 나아간 여성 혁명가 리쩐(李貞)

이철의   리쩐은 중국 최초의 여장군이다. 그는 나중에 소장 계급을 받고 여러 개의 훈장을 받는 등 휘황한 조명을 받았지만, 그의 일생은 고난에 찬 투쟁의 연속이었다. 그는 찢어지게 가난한 농민의 딸로 태어났다. 리쩐은 막내였는데 부친은 그가 태어나고 다음…

노동자신문 2025.02.10 214

[중국혁명가] 천겅(陳賡), 두 번이나 장제스의 목숨을 구하다

이철의천겅은 인민해방군이 자랑하는 상승장군이다. 난창기의, 장정, 항일전쟁, 국공내전에 참전하여 활약하였으며 한국전쟁에도 참전하였다. 천겅은 지략과 용맹함이 뛰어나고, 모략과 지하공작에도 능하여 마오쩌둥이 필요한데 …

노동자신문 2025.02.07 11

[중국혁명가] 공산당 섬북 근거지 개척자 류즈단(刘志丹)

이철의중국은 본래 개인숭배를 엄격하게 억제했던 전통이 있다. 1949년 1월, 대륙의 내전에서 승리가 분명해질 무렵 공산당은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런 결의를 하였다. “생일 잔치를 하지 않고, 선물을 주지 않으며, 술은 조금만 권…

노동자신문 2025.02.07 7

[중국혁명가] 한위건과 장지락의 엇갈린 운명

 이철의장지락은 님 웨일즈가 쓴 ‘아리랑’의 주인공 김산의 본명이다. 김산은 한국인들에게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다. 불굴의 혁명가이자 독립투사로 일제와 맞서 싸웠으나 간첩의 누명을 쓰고 억울하게 죽었다. 자신이 투신하여 활동…

노동자신문 2025.02.07 10

[중국혁명가] 문화대혁명으로 스러진 마오쩌둥 후계자 노동운동 출신의 혁명가 류샤오치(劉少奇)

이철의류샤오치는 1898년에 태어나 1969년에 사망했다. 마오쩌둥과 같은 후난성 출신인데 마오쩌둥보다는 다섯 살이 적다. 그는 적지 않은 기간 마오쩌둥의 후계자 지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끝내 마오에 의해 국가주석직에서 해임…

노동자신문 2025.02.07 8

[노동자의 삶] 노동자는 힘이 세다? (1)

한형식 (교육활동가)노동자(계급)의 힘은 무엇인가 노동자를 대변한다는 정당이 얻은 득표, 사회 전체의 생산에 기여한 노동자의 몫, 노조 가입률, 복지 제도의 가입과 수혜자 수 혹은 혁명적 상황에서 분출되는 노동자 투쟁의 강렬…

노동자신문 2025.02.07 12

[중국혁명가] 마오쩌둥 혁명을 위해 일가를 희생하다

이철의 마오쩌둥은 중국 현대사에서 손꼽히는 위인이다. 1949년 10월 1일, 신중국이 성립하기 전까지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로서 혁명이론 수립 및 당의 지도, 전략 및 전술의 수립, 전쟁 및 전투지휘에 이…

노동자신문 2025.02.06 8

[중국혁명가] "피를 흘리지 않으면 혁명을 이룰 수 없다.“ ― 신해혁명의 여걸 치우진 (秋瑾)

이철의중국의 혁명가. 1875년 저장성 샤오싱(소흥)에서 태어났다. 호가 간후(湖鉴) 여협으로 간후는 저장성에 있는 유명한 호수이다. 여협이라고 붙인 호를 보면 그의 기개와 결기를 느낄 수 있다. 치우진은 여성해방 운동과 신…

노동자신문 2025.02.06 11

[과학칼럼] 과학지식은 어떻게 생산되는가 (3)

 신명호 (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 정책위원장)우리는 앞에서 과학 공동체와 사회와의 구조적 결합과 상호작용임과 동시에 과학기술 지식을 생산하는 체계로서 일국 단위의 국가과학기술시스템을 설명했고, 현대 자본주의 국가의 과학지식 생산을 총자본과 개별자…

노동자신문 2025.02.06 9

[세계관과 노동운동] 인간은 원인과 결과 관계와 무관하게 살아갈 수 있는가?

 문영찬 (노동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장)‘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와 같은 속담은 민중들이 소박하게 원인과 결과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다. 유인원에서 인간으로의 발전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노동인데, 노동 …

노동자신문 2025.02.06 11

[중국혁명가] 좌경 모험주의의 상징 인물 리리싼(李立三)

지식인이자 지도자였던 리리싼탄광 대파업 승리로 이끌어무장폭동 등 무모한 실력행사에 좌경모험주의 비판 직면소련으로 가 사상개조 받아귀국 후 노조, 노동안전에 공헌하지만문화대혁명 격랑에 휩쓸려 자살1980년 뒤늦게 명예회복 투쟁과 혁명운동으로 점…

노동자신문 2025.02.06 9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