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가자지구서 하마스의 저항에 고전 / ‘후티 반군’, 그들은 누구인가? > 국제

본문 바로가기

국제

이스라엘, 가자지구서 하마스의 저항에 고전 / ‘후티 반군’, 그들은 누구인가?

profile_image
노동자신문
2025-02-06 15:36 6 0

본문


김의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개전 이래 가자지구 곳곳에서 치열한 격전이 벌어지고 있다하마스는 지난 12(현지시각매복작전을 통해 이스라엘군 10명을 사살했으며, 2007년과 2014, 2021년과 다르게 점령군의 침략무력에 막대한 손실을 지속해서 입히고 있다.


오늘날 이스라엘의 정부기관들과 언론매체들은 자국의 무장역량의 손실에 대해 앞다투어 보도하고 있다예히노트 아하로노트는 지난 22(현지시각보도에서 2천명 이상의 사상자들이 속출했으며그중 460여 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이스라엘 타임스도 또한 자국 보건부의 통계를 인용하며 “10월 7일 이래로 이스라엘군 10,580명이 헤즈볼라의 공격과 하마스와의 전쟁서안지구에서의 테러리스트 공격으로 인해 부상당했다고 진술했다이스라엘 국방부는 “6,12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그중 2,005명이 불구자로 됐다고 시인하였다.

이 모든 지표는 팔레스타인 민중들의 가열찬 저항이 가공할 정도의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명실상부하게 보여주고 있다이스라엘은 2달 이상 동안 하마스에게 유의미한 타격을 가하지 못했으며팔레스타인의 저항세력들은 가자지구의 밀집된 건물들과 지하터널을 활용한 시가전을 통해 시오니스트 점령자들과 학살자들을 공포에 떨게 하고 있다건물 하나하나가 불파의 요새로서팔레스타인 해방전사들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스탈린그라드에서 히틀러 독일의 파시스트 군대가 고전을 면치 못했던 것처럼그와 비슷한 상황이 오늘날 가자지구에서 전개되고 있다.


가자지구 보건부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팔레스타인 측의 사상자는 5 2,000명에 달한다그러나 이는 이스라엘에 오히려 역효과로 돌아오고 있다전차와 폭격기미사일을 앞세운다고 한들해방과 자유독립을 향한 팔레스타인 민중들의 오랜 염원을 짓밟을 수 없다. ‘하마스가 해체 직전에 있다는 주류 언론의 왜곡과 다르게팔레스타인 민중들은 생사(生死)가 오가는 전쟁에서 물러서지 않고 가열찬 투쟁에 여전히 나서고 있다미국과 서방을 제외하면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나라들은 그 어디에도 없다세계 각국의 민중들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연대의 의사를 표명하며 뉴욕과 런던서울 등지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있다.


칼로 흥한 자칼로 망한다. 1948년 이래 강제이주와 정착촌 및 분리장벽 건설을 자행했던 시오니스트 전쟁광들은 오늘날 팔레스타인 인민들의 항쟁과 세계적 여론의 강력한 지탄에 직면하고 있다군사력도 더 이상 예전 같지 않다강력한 후원군인 미국마저 약화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이스라엘에 남은 길은 오직 자멸밖에 없다.


e14f0e3b413e2f1c525d46053a72a314_1738823766_9768.jpg



 후티 반군’, 그들은 누구인가?

 

김의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에 관하여예멘이 최근 들어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이른바 후티 반군이 홍해상에서 이스라엘로 군수물자를 운반하려는 제국주의 국가들의 기도를 파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미국 등은 이에 번영 수호자 작전을 가동하며, ‘강력대응’, ‘최후경고를 운운하고 있다.


제국주의 나라들과 그 주구들을 공포에 떨게 하는 예멘의 후티 반군은 누구인가서방과 한국에서 후티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이란의 조종을 받는 시아파 무장 세력내지는 반미·반서방 성향의 테러 단체’ 정도다그러나 내막은 사뭇 다르다.


AVvXsEg557kkEj6XcIYuB6Sl3WieoGWwblneE_EnhmwFfcV7EO4rvxd_1tby4g7cksc2qPwPQAC5FujSJnc4kopTwec5Ty0IYdlJqVRDWMQdvynwArTHyGTR2yNi5opE_MQkQ9O4lCyHkp-UcAOTPu58ZVuMIukAxtAnRyoAHV-_5mzZdfgftrUhDwfwrFTy=w320-h59

후티의 정식 명칭은 안사르알라 전선이다안사르알라 전선은 후세인 알후티의 주도로 1990년대 말 예멘 북부에서 출범했다이슬람 근본주의 성향인 살리피즘과 다르게 세속주의 세력과도 협력하는 태도를 보였으며미국과 서방 국가들의 후원하에서 예멘 민중들에 대한 폭압을 자행했던 정부 당국에 맞서 저항을 전개했다.


안사르알라 전선은 2014년 9월 예멘의 수도 사나를 장악한 후 각지에서 민주적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지주들의 토지를 몰수하여 토지 개혁을 시행했고여성의 사회적·경제적 독립을 핵심 강령으로 내걸고 있으며제국주의 국가들에 의한 대외적 종속에 맞서 자립적 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과거 남예멘 시기 집권당의 후신인 예멘 사회당과도 긴밀한 협력을 구축하고 있기도 하다.


오늘날 예멘의 민중들은 제국주의 국가들에 맞서 진보적민주적 권리들을 견결하게 사수하고 있다사유재산에 대한 옹호 등 일정한 계급적 제한성에도 불구하고미국과 영국이 지속해서 압박을 가하는 한안사르알라 전선은 계속하여 투쟁의 전선에 나설 것이다.   (2024.1.16)


8%EB%A9%B4-%EA%B5%AD%EC%A0%9C-%ED%8C%94%EB%A0%88%EC%8A%A4%ED%83%80%EC%9D%B8%20%EC%97%B0%EB%8C%80%20%EC%8B%9C%EC%9C%84%EC%97%90%20%EC%B0%B8%EC%97%AC%ED%95%9C%20%EC%98%88%EB%A9%98%20%ED%9B%84%ED%8B%B0%20%EB%B0%98%EA%B5%B0%EC%9D%98%20%EB%8C%80%EC%9B%90%EB%93%A4.jpg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